경험 공유집

청년챔프단 노하우 및 경험 공유

구분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캠페인
디어히어팀 장애인 보조견 사회적 인식개선 - 너의눈이될'개' 캠페인0
박수빈박수빈
21-07-11
21887
173


저희는 dear의 '소중한 ~에게'라는 뜻과 here의 '지금, 여기' 라는 의미가 합쳐져 현재에 가치를 많은 사람에게 공유하고 알려주고자 모인 팀으로, 사회에 존재하는 문화, 미디어, 역사를 향유하고 있는 청년들이 모여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현재'의 가치를 같이 누릴 수 있도록 활동을 기획 및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팀의 정의로 인해 '문화, 역사, 환경, 차별 이슈 등' 다양한 주제로 캠페인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장애인 복지법 제 40조 3항에 ‘장애인 보조견을 동반한 장애인은 대중교통, 공공장소, 숙박시설, 식품접객업소 등에서 정당한 사유없이 거부해서는 안된다’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내견이 일반 반려동물로 인식되어 자유롭게 출입을 못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견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해 보조견 안내 콘티를 제작하여 지하철 광고를 게시한 프로젝트입니다.


# 캠페인 제안배경

지난 11월 29일 ▲▲마트 잠실점에서 직원이 ‘장애인 보조견이 되기 위한 훈련 중’이라고 쓰이니 옷을 입은 안내견의 입장을 막고, 훈련을 돕는 자원봉사자에게 고성을 지를 일이 발생했다. 주황색 조끼를 입고 있는 안내견에게 장애인도 아니면서 강아지를 데려온 것에 대해 소리치며 출입을 거부한 것이다. 이는 장애인의 인권과 인식 문제를 제고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마트는 SNS에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퍼피워커와 동반 고객 응대 과정에서 견주님의 입장을 배려하지 못한 점을 인정한다.”라고 하였다. 하지만, 문제는 ‘장애인 안내견 출입 거부’에 대해 짚은 것이 아니라 고객 응대에 대해 사과를 하여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에 대한 인식 개선에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 캠페인 진행내역

시 간

주 요 활 동 내 용

비 고

1228

캠페인 기획 및 아이디어 회의

(시각장애인과 안내견 인식개선을 주제로)

온라인 회의

111

크라우드 펀딩 사전 준비 회의

(시각장애인 인터뷰,설문조사,리워드 계획)

온라인 회의

125

크라우드 펀딩 사전 준비 회의

(펀딩금 사용 계획,팀별 활동)

총괄팀: 박나연, 김다빈, 이찬희

작가 및 리워드 팀: 박수빈, 정수진, 김은정

인터뷰 및 광고 조사팀: 박지예, 성원정

온라인 회의

28

크라우드 펀딩 사전 준비 회의

(일러스트 작가 컨택리워드 상품 도안)

온라인 회의

222

크라우드 펀딩 사전 준비 회의

(설문조사 결과 바탕으로 카드뉴스 제작,팀별 상황 공유)

온라인 회의

224

안내견 에티켓 알리는 카드뉴스 업로드

디어히어 인스타그램

312

크라우드 펀딩 사전 준비 회의

(리워드 샘플 주문,리워드 촬영 계획)

온라인 회의

315

리워드 물품 촬영(마포구 카페)

박나연, 정수진, 김다빈, 이찬희

오프라인 활동

319

지하철 광고 콘티 오프라인 회의

(성수역 카페)

박수빈, 성원정, 박지예, 김은정

오프라인 활동

326

크라우드 펀딩 사전 준비 회의

(광고 콘티 수정,와디즈 제휴 준비)

온라인 회의

42

크라우드 펀딩 사전 준비 회의

(와디즈 제휴 시 필요한 서류와 자료 준비)

온라인 회의

418

크라우드 펀딩 진행 회의

(홍보 방안 논의)

온라인 회의

5월 01일​​​

크라우드 펀딩 홍보 카드뉴스 업로드

온라인 회의
5월 08일

크라우드 펀딩 진행 회의

(2차 홍보 방안 논의)

온라인 회의
510

크라우드 펀딩2차 홍보 카드뉴스 업로드

온라인 회의
521

너의 눈이 될개크라우드 펀딩 성공

온라인 회의
5월21일

펀딩 이후 회의 ①

(리워드 주문, 지하철 광고 컨택)

온라인 회의
614

리워드 직접 포장 및 발송 (한국사회공헌협회에서 포장, 우체국에서 발송)

박수빈, 박지예, 정수진

온라인 회의​​
6월18일

펀딩 이후 회의 ②

(광고 게시할 지하철역 확정)

온라인 회의
622

크라우드 펀딩 진행 회의

(홍보 방안 논의)

펀딩 이후 회의

(광고 게시할 지하철역 확정)

어린이대공원역 지하철 광고 계약 진행

온라인 회의

77

어린이대공원역 지하철 광고 게시 인증​​

박지예, 박나연, 김다빈​​

오프라인 활동​​



# 캠페인 상세내용

디어히어팀 인스타그램

크라우드 펀딩 주소 - 저희 프로젝트 취지를 좀 더 상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네이버 카페, 블로그, 인스타를 통한 SNS 설문조사를 통해 시각장애인과 안내견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안내견 에티켓 관련 카드뉴스 제작


2. 리워드 물품 촬영

- 남녀노소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키링’을 물품으로 설정하여 비싸지 않은 금액에서 최대한의 참여를 목표로 한다.

- 디자인은 인스타그램에서 활동중인 작가들을 모집하고 있으며 ‘누군가의 눈’이라는 시각장애인과 안내견 캠페인을 참여한 작가를 선정할 것이다.

- 크라우드 펀딩을 위한 리워드 물품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 마포구에 위치한 ‘티르티르’ 카페에서 촬영 진행했고, 이를 토대로 “누니즈” 리워드 물품에 대한 소개 카드뉴스와 스토리보드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3. 광고 콘티 구상 회의

지하철 광고 콘티 오프라인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성수역 카페에서 진행되었고, 이를 토대로 크라우드 펀딩 성공 시 게시할 지하철 광고의 콘티를 완성하였습니다




4. 크라우드 펀딩 홍보 카드뉴스 제작


5. 한국사회공헌협회에서 리워드 물품 포장, 우체국 발송 작업

- 리워드 포장 및 발송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한국사회공헌협회로 리워드 물품을 배송하여 포장 작업을 진행했고, 포장 작업 후 천호동 우체국에서 발송을 완료했습니다.




6. 지하철 광고 콘티 구상 후 최종 시안 제작(안내견 관련 법 조항과 에티켓에 관한 내용)



7. 어린이대공원 지하철역 라이트 박스 광고 게시







박수빈(팀장): 오랜 기간 준비하고 기획하고 진행해왔던 ‘너의 눈이 될개’ 캠페인을 무사히 마칠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크라우드 펀딩을 처음 진행해보아서 모르는 부분도 많았고 미숙하게 처리한 부분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기회를 통해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하는 방식을 잘 알 수 있었고,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시각장애인과 안내견 차별 문제는 작년 말에 oo마트 사건으로 수면 위로 올라왔지만, 여전히 많은 곳에서 차별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더 많은 사람에게 알려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이 차별 없이 함께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자 캠페인을 기획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어린이대공원역에 지하철 광고를 게시할 수 있었습니다. 비록 지하철 광고라는 매체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다 볼 수 있게 할 수는 없지만,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지하철역에서 오며 가며 무의식적으로라도 보며 인식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크라우드 펀딩을 홍보하는 과정이 가장 어려웠는데 지인들을 총동원하기도 하고, 각종 방법들을 모두 써가며 펀딩 성공을 이끌어내 굉장히 뿌듯했던 캠페인이었습니다.

 

정수진(부팀장): 처음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해보았고, 오랜 기간이 걸렸던 만큼 다양한 생각을 해보았던 캠페인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예뜰 작가님과 여러 번 연락하면서, 어떤 식으로 말씀드리는 게 좋을지에 대해서 많이 생각해 보기도 하였습니다. 제 시선이 아닌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의 시선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박지예(서기): 이 캠페인을 진행하며 꼭 광고를 할 수 있게 되어 시각장애인분들과 안내견이 더욱 자유롭게 다양한 곳을 다닐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면서 쭉 진행했었는데 이렇게 펀딩을 성공하여 광고를 진행할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처음으로 와디즈 펀딩을 시도하고 지하철역에 광고를 진행하게 되기까지 정말 많은 시간이 걸렸는데 결국 성공하게 되어 정말 뿌듯하고 감동적입니다. 디어히어 팀원 모두가 한마음으로 바랬던것 처럼 시각장애인분들과 안내견 들이 사회에서 더욱 많은 활동을 하고 움직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저희의 작은 움직임이 이러한 결실을 맺을 수 있게 되어 너무 행복한 캠페인이었습니다!

 

이찬희(홍보팀장): 저희의 캠페인이 더 많은 분들에게 인식 변화의 기회로 다가갔으면 하는 마음에 열심히 설문조사부터 카드뉴스 제작, 펀딩을 거쳐 광고 진행까지 캠페인을 진행해올 수 있던 것 같습니다. 저희의 캠페인이 시각장애인분들과 그분들의 안내견이 자유롭게 이동하고 출입하는 데 실제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박나연(기획):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지하철광고를 이루기까지 쉽지 않은 캠페인이었고 정말 장기적으로 많은 활동이 필요했습니다. 무엇보다 홍보와 직결되는 활동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야 했습니다. 그렇다 보니 이전에 사용하지 않았던 방법을 찾아내고, 더 좋은 캠페인으로 완성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했습니다. 정말 팀원 모두가 각자 맡은 역할에 대해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지하철 광고라는 최종목표까지 도달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활동으로 팀원뿐만 아니라 펀딩에 참여해주신 분들과 그 외 다른 분들도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관심을 가질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엇보다 권리로서 사회적 참여가 당연해지는 세상이 하루빨리 도래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김다빈(홍보): 캠페인을 시작할 때는 사실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의심이 있었고, 저희의 작은 도전으로 변화가 나타날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팀원들과 힘을 합쳐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하고 결국 지하철 광고까지 해내게 되었을 때 정말 기뻤고,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면 작게라도 결국 변화가 일어난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저희의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시각장애인 안내견에 대한 인식이 앞으로도 꾸준히 개선되길 바랍니다.

 

김은정(홍보): 롯데 마트 사건을 계기로 지하철 광고를 걸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었지만 그만큼 뿌듯하고 이 일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안내견에 대해서 알고 관심 가져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크라우드 펀딩을 시행하면서 리워드 상품을 정하고 홍보하고 성공한 것도 좋은 경험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173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구분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캠페인
심규리심규리
22-08-13
5298
52
캠페인
조다연조다연
22-01-12
6850
152
캠페인
문채윤문채윤
22-01-06
7483
151
캠페인
문주희문주희
21-12-23
8542
135
캠페인
배민경배민경
21-11-26
9817
68
캠페인
김태휴김태휴
21-10-28
13185
140
  • 제목 + 내용
  • 제목
  • 내용
  • 작성자